2025년 4월 인구동향 지표별 변화 요약
2025년 4월 출생아 수 20,717명으로 8.7% 증가, 자연증가는 여전히 -8,068명으로 인구감소 지속
▶ 출생아 수 증가 추세
2025년 4월 출생아 수는 20,71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58명(8.7%) 증가했습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이어지던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서 반등한 수치로, 출산율 제고 정책의 일부 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합계출산율 또한 0.79명으로 전년 대비 0.06명 상승하며 다소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습니다.
전국 대부분의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증가했으며, 특히 인천(15.1%), 대구(11.3%), 서울(10.5%) 등 수도권과 광역시 지역에서 뚜렷한 증가세가 확인됐습니다.
한편 출산 순위별 구성비를 보면 첫째아 비율이 62.0%로 전년 대비 1.2%p 증가했으며, 둘째아(-0.6%p), 셋째아 이상(-0.6%p)은 모두 감소했습니다. 이는 결혼과 출산을 늦추는 경향 속에서 한 자녀만을 계획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사망자 수 소폭 증가
4월 사망자 수는 28,785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5명(0.8%) 증가했습니다. 조사망률은 6.9명/1천명으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경북(+10.2%), 대구(+7.4%), 부산(+8.1%) 등 일부 고령화 심화 지역에서 뚜렷한 증가가 있었으며, 반면 서울(-1.0%), 세종(-0.1%) 등은 다소 감소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는 여전히 고령사회가 지속되는 현실을 반영하며, 향후 사망률 증가에 대비한 복지 및 돌봄 인프라 강화가 요구됩니다.
▶ 자연감소 현상 지속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은 자연감소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며, 2025년 4월 기준 자연감소 인구는 –8,06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자연증가율(조출생률 - 조사망률)은 –1.9명/1천명이며, 이는 전년도 동일 기간(-2.3명/1천명)보다는 소폭 완화된 수치입니다.
세종시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자연감소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전남(-5.6), 경북(-6.0), 전북(-6.0) 등 고령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인구 구조적 위기 상황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혼인 증가세 지속
2025년 4월 혼인 건수는 18,921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884건(4.9%) 증가했습니다. 조혼인율은 4.5건/1천명으로 증가세를 유지 중입니다.
서울(+15.8%), 대전(+30.4%), 부산(+12.5%) 등 주요 광역시에서 혼인 증가가 뚜렷했으며, 혼인 관련 제도 개편, 주택 공급 확대 정책 등이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와 같은 혼인 증가 추세는 향후 출산율 증가의 기반이 될 수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이혼 건수 감소
2025년 4월 이혼 건수는 7,299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402건(–5.2%) 감소했습니다. 조이혼율도 1.7건/1천명으로 하락했습니다.
서울(–11.8%), 강원(–11.5%), 경남(–13.2%) 등 대부분 지역에서 이혼이 감소하였으며, 대전(+2.3%), 울산(+1.4%) 등 일부 지역만 증가했습니다.
이혼 감소는 가족 유지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변화, 중장년층 지원 확대 등 정책 효과가 일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 한눈에 보는 요약
출생아 수 20,717명, 전년대비 8.7% 증가
합계출산율 0.79명, 자연감소는 –8,068명
혼인 18,921건, 이혼 7,299건으로 감소
세종 외 전국 시도 모두 인구 자연감소
2025년 4월 인구동향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 시도별 인구지표 변동 현황
- 서울특별시: 출생 +10.5%, 사망 –1.0%, 자연감소 –386명
- 인천광역시: 출생 +15.1%, 사망 +4.7%, 자연감소 –151명
- 세종특별자치시: 유일한 자연증가 지역 (+116명), 출생률 전국 최고(7.4)
- 전남·경북: 자연감소 가장 심각, 조사망률 10.5 이상
이처럼 시도별 특성은 출산·사망·혼인 이슈에 대한 지역 맞춤형 대책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예를 들어, 세종시와 같이 청년 인구 유입이 가능한 행정수도는 모범 사례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
▶ 정책적 시사점 및 과제
- 출산 증가 기반 확대: 첫째아 출산은 증가세이나 다자녀는 감소, 이에 따라 둘째아 이상 출산 유도정책 강화 필요
- 혼인 활성화 정책 지속: 청년층 주거 안정, 결혼비용 경감 등을 통해 결혼 장려
- 지역 맞춤형 대응: 고령화 심각 지역에는 보건·돌봄서비스 확대와 인구유입 유도
- 자연감소 대응 통합 전략: 출산·혼인·이주 통합 연계 정책 필요
- 정책 홍보 및 정보 제공 강화: 지역별 정책 수요 분석 후 정보 접근성 강화
▶ 참고 가능한 정책자료 링크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공표자료: https://kostat.go.kr
- 국가통계포털 KOSIS: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A3
- 정부 정책정보포털: https://www.korea.kr
지방소멸 위기와 인구 불균형이 뚜렷해지는 가운데, 이번 4월 통계는 출산과 혼인 증가라는 희망적 요소와 함께 인구감소 지속이라는 현실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정책 담당자와 국민 모두가 이 지표를 주의 깊게 살피고, 각자의 위치에서 필요한 역할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정책을 꼭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삶 통계, SGIS 지도로 확인하고 정책 설계까지 (1) | 2025.06.26 |
---|---|
2024년 맞벌이·1인가구 취업 현황 통계 분석 (1) | 2025.06.26 |
2024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발표…귀농·귀어는 감소, 귀촌은 증가세 (0) | 2025.06.26 |
2025년 5월 인구이동자 수 47만 명, 수도권 유입 지속 속 서울·부산 등 대도시 순유출 가속 (4)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