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

2025년 적용 화물자동차 안전운송원가 고시…품목별 운임기준 전면 정비

경제정책 가이드북 2025. 6. 27. 10:01
반응형

2025년 화물차 운송단가 고시…차종별·톤급별 세부 원가 공개

2025년부터 적용되는 국토교통부의 ‘화물자동차 안전운송원가 고시’가 제정되어 철강재 및 일반형 화물자동차의 운임 기준이 세부적으로 정비되었습니다. 철강재, 1톤~25톤 화물차의 고정·변동비 구성, km당 운송단가가 명시되었으며, 구조변경 장비비, 유류비 협의도 인정됩니다.


▶ 고시 개요 및 적용 근거

국토교통부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5조의4 및 시행령 제4조의7에 따라 2025년 적용 화물자동차 안전운송원가 고시(제2024-1024호)를 2024년 12월 31일자로 발표했습니다.

이 고시는 202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유효하며, 화물자동차 차주와 운송사업자 간의 운임 협상 시 법적·현실적 기준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고시는 특히 철강재 운송에 투입되는 피견인자동차(트레일러)와, 일반형 1톤~25톤 화물자동차를 각각 구분하여 원가 구조 및 운송 정보, 운임 산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장 중심의 실효성이 큽니다.


▶ 철강재 운송 차량 원가 기준

철강재 운송에 활용되는 트레일러 기준의 운송원가는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습니다.

  • 월 고정원가: 2,961,423원
  • 월 변동원가: 4,311,703원
  • 총합계: 7,273,126원

1km당 단가 기준은 936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차주의 월 평균 운송거리 7,769km, 운송건수 39.6건, 운송일수는 21.5일입니다.

이 단가는 철강재와 같은 중량 화물 운송 시 필요한 실제 운송 수단 특성(피견인자동차의 고비용 구조)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일반형 화물차 톤급별 원가 구조

1톤~25톤 일반형 화물차의 원가 구조는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1. 월 단위 원가
차량 톤급  고정원가(원)  변동원가(원)  총합계(원)
1톤 915,275 782,855 1,698,130
5톤 1,486,131 1,965,004 3,451,135
12톤 2,360,985 3,570,897 5,931,882
25톤 2,809,933 4,336,683 7,146,616
  1. 1km당 단가
차량 톤급  단가(원/km)
1톤 421
5톤 493
12톤 733
25톤 777
  1. 운송 정보
차량 톤급  운송거리(km)  운송건수  운송일수
1톤 4,030 49.7 22.1
5톤 6,999 37.3 22.2
12톤 8,096 32.3 22.4
25톤 9,200 26.6 21.9

▶ 고정비·변동비 항목 정리

이번 고시에서는 원가 항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나누어 명확하게 구분하였습니다.

  • 고정비 항목: 감가상각비, 차량구입 금융비용, 보험료, 자동차세, 번호판비용, 단체·협회비, 주차비, 숙박비, 사회보험료 등
  • 변동비 항목: 주유비, 통행료, 정비비, 타이어비, 잡유비, 세차비 등

이러한 구분은 계약 시 운임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실비 보전의 근거로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부대 조항에 따른 운임 산정 기준

이번 고시는 다음과 같은 부대 조항을 명시하고 있어, 실질적 원가 협상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1. 어음 수수료는 실비 정산 가능
  2. 차량 구조변경(유압기, 냉장장치, 윙바디 등) 비용은 포함 가능
  3. 유류비는 연비와 시세를 반영하여 협의 가능
  4. 주선수수료는 별도
  5. 부가가치세는 포함되지 않음

▶ 한눈에 보는 요약

  • 철강재 운송단가: 936원/km
  • 25톤 화물차 운송단가: 777원/km
  • 구조변경 비용, 실비로 포함 가능
  • 연비·유가 기반 유류비 협의 가능

2025년 적용 화물자동차 안전운송원가

반응형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 정책 적용 효과 및 기대점

이 고시는 단순 운송단가 제시를 넘어, 운임 협상 과정에서의 객관적 기준 마련을 통한 시장 질서 안정화운송기사의 최소 수익 확보를 지원합니다.

또한 차량 톤급별, 품목별, 거리당 운임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운송사업자와 화주 간 합리적 협의 기반을 제공합니다.


▶ 관련 외부 자료 링크


▶ 마무리 안내

2025년 운송계약 시 이 고시 내용을 기반으로 운임 협의를 진행하시면 더욱 안정적입니다.
정책을 꼭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합리적인 기준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길 기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