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025 특수교육 대개편! 교사·학부모가 꼭 알아야 할 특수교육 정책 핵심 정리

psm0801 2025. 5. 2. 11:32

 

🔍 요약: 2025년 특수교육, 현장 중심 맞춤형으로 진화한다

교육부는 2025년부터 특수교육을 ‘국가책임 맞춤형 체계’로 대대적으로 개편합니다. 이번 계획은 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본격 시행 단계로, 영유아기 조기발견부터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를 아우르는 교육 지원 체계를 강화합니다. 통합교육 확대, 특수학교 다양화,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지원, 교사 연수 확대, 인권보호 시스템까지, 모든 영역에서의 변화가 예고됩니다.


🎯 특수교육의 비전과 전략적 방향

  • 비전: 모두가 존중받는 국가책임 맞춤형 특수교육 실현
  • 3대 목표:
    1. 장애영유아의 평등한 출발선 보장
    2. 교육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선택권 확보
    3. 고등·평생교육 격차 해소
  • 4대 추진 전략:
    • 학생 중심 특수교육 전달체계 내실화
    •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 지원 강화
    • 개별 맞춤형 특수교육 확대
    • 고등·평생교육 기회 확대

👶 장애영유아 조기개입 체계 강화

장애영유아 시기의 조기 발견과 중재가 중요한 만큼, 2025년에는 진단·평가체계가 더욱 확대되고, 지역기관과 연계된 조기 개입 시스템이 강화됩니다.

  • 유아특수교사 배치 확대
  • 특수교육 대상자 조기 발견 및 무상교육 지원
  • 부모 대상 ‘온맘’ 시스템과 학부모지원센터 연계

🔗 관련 링크
장애자녀 부모지원 시스템 - 온맘
학부모지원센터


🏫 통합교육, 일반학교 중심으로 전환

통합교육은 이제 특수학급 중심이 아닌, 일반학급 중심 체제로 전환됩니다. 협력 교수와 함께하는 교육, 멘토링 시스템, 학교장애인식지수 등의 정책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 ‘정다운학교’ 모델 확대
  • 통합교육지원단 전국 단위로 운영
  • 일반학교 통합학급 학생 수 감축 유도
  • ‘학교장애인식지수’ 도입으로 인식 개선

📚 개별 맞춤형 교육, 디지털 기술과 함께

디지털 기반의 특수교육이 확대됩니다. 보조공학기기, 에듀테크, IEP 관리 체계화가 핵심입니다.

  • AI 및 보조공학기기 연계 교육 도입
  • 국립특수교육원 제공 자료 확대
  • 개별화교육계획(IEP) 수립·운영 내실화
  • 순회교육 및 방과후·돌봄 연계 확대

🔗 참고자료
에듀에이블 - 특수교육 교수·학습자료


🏢 특수학교 다양화와 교육 선택권 확대

단일과정, 전공별 특성화, 직업특화형 등 다양한 유형의 특수학교가 단계적으로 확충됩니다.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소규모 학교도 설립됩니다.

  • 예술·체육·직업 특성화 특수학교 확대
  • 공공재활병원 내 학급 운영
  • 특수학급은 유치원 포함 전 학급에서 우선 설치 추진

👨‍🏫 특수교육 교사 역량 강화와 심리 지원 확대

교원의 전문성 제고는 특수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2025년에는 실무 중심 연수와 심리 소진 예방을 위한 지원이 강화됩니다.

  • 행동중재, 진단도구 연수 필수화
  • 자격 제도 정비: 수어·점자 자격 교원 우선 배치
  • 산림치유·상담 프로그램 운영
  • 협력 교수 및 전문적학습공동체(PLC) 운영

🛡️ 장애학생 인권, 체계적으로 보호된다

‘장애학생 인권보호 지원센터’ 운영, 인권실태조사 정례화, 학칙 내 인권조항 의무화 등 인권 기반 교육 시스템이 강화됩니다.

  • 인권침해 신고 시스템 도입
  • 보호자·교원 대상 인권연수 확대
  • 자기보호 교육자료 개발 및 보급
  • 인권지원단 및 학교폭력대책협의회 연계 강화

🔗 장애학생 인권보호 센터 바로가기


🎓 장애인 고등·평생교육 강화

대학 진학과 취업을 목표로 한 특수교육도 본격 강화됩니다. 대학 내 장애학생 지원센터 강화, 직업교육 다양화, 지역 기반 평생학습 체계가 확대됩니다.

  • 대학 내 학습지원 인프라 구축
  • 직업특화형 특수학교 확대
  • 평생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 마무리: 2025 특수교육, ‘현장 체감’이 핵심

2025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은 제도 정비를 넘어, 실질적인 체감성과를 낼 수 있는 ‘현장 중심’ 특수교육입니다. 교사, 보호자, 지역사회의 협업이 정책 성공의 핵심이며, 향후 실천과 연계되는 실행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이제는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을 실현할 시점입니다.


📂 관련 공식 문서 및 자료


 

반응형